Home gateway = Residual Gateway = MHG (Multimedia Home Gateway)
- Home Gateway: 사실 우리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라우터 즉, 인터넷 공유기 자체도 Gateway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.
소비자 측면에서의 Home gateway의 장점
- Internet connection sharing and simultaneous Internet access
- In-home file/print sharing
- In-home Wireless LAN connectivity
- VPN connectivity to work place
- Firewall security, parental protection
- Broadband telephony (Voice over IP)
- IP Video on Demand
- In-home audio & video streaming
- Remote health monitoring
- Security surveillance
- Home automation & home control
- Remote meter reading
<개인용 홈게이트웨이 기기들>
즉, 대부분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기기들을 홈게이트웨이라 칭할 수 있다. Set top box, Router 등을 포함한 많은 전자기기를 홈게이트웨이라 칭할 수 있다.
- Home Gateway의 다양한 예시
<SOHO Router Home Gateway>
< Cable Router Home Gateway>
Cable Router를 1개의 기기로 통합하는 DOCSIS 기술을 이용한 Cable Router 예시임
<DSL IAD / Router Home Gateway>
<Digital Settop Box Home Gateway>
어찌 본다면 현재 Set top Box 업계에서 사용하는 Home Gateway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한 그림인 것 같습니다. Router의 기능과 Set top box Transcoding기능을 총체적으로 포괄하는 가장 High-End급으로 Multiscreen기능 (Tablet 혹은 Smartphone으로 TV시청), Client OTT Service(거실에 Gateway급을 두고 큰방 작은방에는 OTT만으로 TV시청)를 포괄하는 의미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드론으로 그림을 만든 기술 (0) | 2017.02.08 |
---|---|
그들만의 리그 'Amazon Echo & Echo Dot & Google Home (스마트 스피커) Hardware 비교' (0) | 2017.01.24 |
노트3 vs 뷰3 vs 베가 패블릿 (0) | 2013.10.01 |
스마트폰 왕좌의 게임 (0) | 2013.07.17 |
그래서 이게 뭔데요! VoLTE?, HD보이스? (0) | 2013.07.08 |